회사에 출근하려고 새벽에 셔틀버스를 기다리고 있으면
항상 같은 시간에 저 멀리서 몸이 불편하신 어르신이 절뚝거리며 걸어오십니다.
그 새벽에도 춥든지 덥든지 산책 운동을 하시려 힘든 걸음을 하시는데
뇌졸중의 후유증인 듯싶어 안타까운 마음이 들더라고요.
뇌졸중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상위권인데도 불구하고(2019년 4위)
뇌졸중 전조증상 등에 대해 잘 알려진 게 없는 것 같아서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에 있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뇌의 조직이 손상되고 급격한 신경학적 문제가 발생하는 뇌 질환으로써
뇌의 혈관이 막혀서 뇌의 일부가 괴사하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져서 조직에 손상이 가는 뇌출혈이 있습니다.
고혈압과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이 심근경색과 더불어 특별히 주의해야 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중풍(中風)이 뇌졸중을 말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뇌졸중 골든 타임
뇌졸중의 골든 타임은 4시간 30분 정도라고 합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당연히 빠르면 빠를수록 좋겠죠?
혈관이 막힌 뇌경색은 혈전용해제 투여나 혈관치료 등으로 뚫는 치료를 진행하고
혈관이 터진 뇌출혈은 약물 치료와 함께 파열된 부위를 치료하면서 고인 혈액을 제거하는 수술 등이 필요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치료를 하기 위해서 병원에 실제로 도착해야 하는 시간은 4시간 30분의 골든 타임보다 최대한 빨라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혈전 용해제 투여 효과와 장애 등의 후유증이 남지 않을 확률이 많이 떨어진다고 하네요.
뇌졸중 전조증상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마비: 몸이나 얼굴의 한쪽이 마비가 생겨서 힘이 풀림
- 감각 이상: 감각이 둔해지는 등에 문제가 발생
- 언어: 말을 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어려워짐
- 시력: 사물이 겹쳐 보이거나 시력이 갑자기 떨어짐
- 두통: 갑작스럽게 심한 두통과 어지럼증이 나타남
- 평형감각: 몸의 중심을 잡기 힘듦
뇌졸중에 대해 찾아보면 항상 나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예전에 어떤 파티에서 부인이 넘어져서 사람들이 구급차를 부르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그 부인은 그냥 새 구두를 신어서 중심을 못 잡은 것이라며 괜찮다고 말했습니다.
아무렇지 않게 옷의 먼지도 털고 음식도 새로 받아 다시 파티를 즐기던 부인은
그날 저녁 집에 귀가해 다음날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고 합니다.
아마 누군가 미리 뇌졸중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았다면 죽지 않았을 겁니다.
그만큼 조금이라도 의심이 가면 적절한 조치가 꼭 필요합니다.
간단한 뇌졸중 진단법
뇌졸중 진단법에는 STR과 FAST가 있습니다.
둘이 거의 같은 진단법인데 일단 모두 알아봅시다!
* STR
- Smile: 웃어보세요. 웃을 때 좌우 대칭이 되지 않거나 웃기 힘들다면 이상이 있는 것입니다.
- Talk: 아무 말이나 해보세요. 제대로 완전한 문장을 대답할 수 없거나 입술이나 혀가 꼬여 발음이 안 되면 문제가 있습니다.
- Raise : 두 팔을 들어보세요. 한쪽이라도 제대로 들 수 없다면 빨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대한 뇌졸중 학회에서는 'FAST'라는 약어로 기억을 시키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FAST
- Face: 얼굴마비
- Arms: 팔다리 마비
- Speech: 언어장애
- Time: 신속한 응급치료
외우기 편한 것을 선택하셔서 꼭 숙지하셔야 합니다!
뇌졸중 발생 시 주의사항
뇌졸중 발생 시 꼭 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 빠른 구조 요청:
의심이 가면 그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가끔 술에 취한 걸로 오인하여 112에 신고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 환자를 평평한 곳에 눕힌 후 고개를 옆으로 돌림
뇌졸중이 오면 구토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구토물이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를 편히 눕혀 고개를 돌립니다.
- 혈액순환을 위해 몸을 조이는 것들을 풀어줍니다.
넥타이, 가방, 벨트, 장신구 등 혈액순환을 방해할 수 있는 물건들을 풀어줍니다.
절대 하면 안 될 것들도 알아봅시다.
- 기존에 복용하던 약을 먹이는 행위
정신을 잃은 환자에게는 굉장히 위험한 행동이 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은 뇌의 기능이 멈춰 기침 등의 반응도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인가를 먹이면 안 됩니다.
- 깨우기 위해 몸을 흔들거나 얼굴을 치는 행위
술에 취했거나 기절했다고 생각하고 환자의 몸에 충격을 주면 뇌졸중 현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뇌졸중에 대해 알아봤는데
절대 절대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그래도 만약을 대비해 꼭 주의 사항을 숙지합시다!
긴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건강하게 살자 > 몸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뚝 여드름? 모공각화증! (0) | 2021.01.25 |
---|---|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차이가 뭐지? (0) | 2021.01.24 |
편두통 원인, 편두통 심할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지압과 마사지 (0) | 2021.01.22 |
역류성 식도염, 위산 부족 때문일 수 있다? (0) | 2021.01.22 |
장누수증후군, 만병의 근원 (0) | 2021.01.21 |
댓글